
Hurling
© Cody Glenn, Sportsfile
상세정보
목록구분 : 대표목록
국가 : 아일랜드(Ireland)
등재연도 : 2018년
요약
헐링(Hurling), 또는 카모기(Camogie, 여성 헐링)는 양 팀이 겨루는 필드경기이다. 헐링의 역사는 20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아일랜드 신화, 그중에서도 특히 ‘쿠 훌린(Cú Chulainn)’ 서사시와 연관이 깊다. 헐링은 특히 아일랜드 전역에서 상대적으로 비옥한 농촌 지역에서 연행될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연행된다. 전통적으로는 경기에 참여하는 선수의 인원제한은 없었으며, 야외의 필드에서 경기했다. 오늘날 성인 팀은 15명의 선수로 이루어져 있고 경계선이 명확하게 표시된 경기장에서 진행한다. 선수들은 ‘헐리(hurley)’라는 목재 스틱을 이용한다. 하키 스틱과 비슷하지만 머리 부분이 납작하다. 헐리를 이용해서 슬리터(sliotar)라고 부르는 작은 공을 쳐서 상대 팀의 골대 사이로 넣으면 득점한다. 주요한 보유자와 연행자는 헐러(hurler, 남성) 또는 카모그(camóg, 여성)라고 불리는 선수들이다. 헐링은 아일랜드 문화의 본질적인 부분으로서 건강과 안녕, 포용성과 팀 정신을 증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늘날, 헐링 기술은 학교와 클럽에서 강습과 경기를 통해 발전 전승되고 있다. 헐링 보존에 관한 한 후견인과 같은 게일운동협회(Gaelic Athletic Association, GAA)와 카모기협회(Camogie Association)는 자원봉사자 주도의 조직으로 헐링의 기술과 가치를 전승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헐링은 양 팀이 겨루는 필드경기이다. 헐링의 역사는 무려 2000년 전이며 아일랜드 신화, 그중에서도 특히 쿠 훌린 서사시와 연관이 깊다.
전통적으로는 경기 인원은 정해져 있지 않으며 야외의 필드에서 경기를 했다. 오늘날 성인 팀은 15명의 선수가 경기한다. 경계선이 명확하게 표시된 필드 양쪽 끝에 럭비 골대와 유사한 골대가 놓여 있는 경기장을 사용한다.
선수들은 헐리(hurley)라고 부르는 목재 스틱과 슬리터(sliotar)라고 부르는 작은 공으로 경기를 한다. 헐리와 슬리터의 모양과 형태는 오랜 세월에 걸쳐 변화를 거듭하였지만 현재의 헐리는 하키 스틱과 비슷한데 다만 머리 부분이 납작하고 둥그스름하다. 슬리터는 야구공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좀 더 작다.
헐리로 슬리터를 쳐서 상대 팀의 골대 사이에 넣는 것이 경기의 목표다. 골대 사이에 골이 들어가면 득점한다. 골키퍼를 지나 골대 아래로 슬리터를 넣으면 3점이 득점된다.
슬리터는 손으로 잡을 수 있고 한 선수가 손에 쥐고 네 걸음까지 뛸 수 있다. 네 걸음을 뛴 선수는 반드시 헐리의 머리 부분에 슬리터를 올려놓고 옮겨야 한다. 선수들은 헐리를 이용해 슬리터를 공중이나 땅으로 쳐서 다른 선수에게 패스할 수 있다. ‘핸드-패스’ 다시 말해 스틱을 쥐지 않은 손으로 공을 쳐서 다른 선수에게 보내는 방법으로 공을 패스할 수도 있다.
영문명
Hurling
지역정보
아일랜드 섬- 북위 53.0000°, 서경 8.0000°에서 행해진다. 헐링은 아일랜드 섬 전역에서 연행된다. 그 중에서도 두드러진 헐링의 중심지는 먼스터(Munster) 지방의 동부, 코노트(Connacht) 지방의 남부, 렌스터 중부(Midlands of Leinster) 지방, 렌스터 지방의 남부, 더블린 등 일반적으로 아일랜드 섬의 다른 지역보다 비옥한 농촌 지역에서 행해진다. 그리고 앤트림 주(County Antrim), 다운 주(County Down)의 아즈 반도(Ards Peninsula) 등 얼스터(Ulster) 지방의 일부 지역도 헐링 경기를 한다. 그러나 슬라이고(Sligo) 주나 웨스트 클래어(West Claire), 웨스트 케리(West Kerry) 등의 지역의 경우, 한때 헐링 경기를 했다는 고고학적 증거는 있지만 오랜 기간이 지나며 약화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역사적으로 약화된 사례를 볼 때, 아일랜드 전역에서 특히 인구 규모가 아주 작은 지역에서는 헐링을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다.
헐링은 아일랜드 밖에서도 경기를 하는데, GAA의 국제 지부에 가입한 클럽 수는 증가 추세이며 현재 총 421개의 클럽이 가입되어 있다. 국제 지부는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영국, 캐나다, 유럽, 중동아시아, 북아메리카, 뉴욕 등 총 8개 지역에 있다.
예능보유자
주요한 보유자와 연행자는 헐러 또는 카모그라고 부르는 헐링 선수들이다. 선수들은 처음에는 클럽이나 학교의 팀에서 훈련하고 경기하지만, 재능이 출중한 선수는 주(County) 팀에 선발될 수 있다.
코치는 훈련과 경기를 치르면서 선수들을 더욱 발전시킬 책임이 있다. 코치의 95%는 자원봉사자이며, 일부만 GAA와 카모기협회에 고용되어 자원봉사자들을 지원한다. GAA 정책에 따라 코치들은 반드시 코치교육과정(Coach Education Courses)을 수료해야 한다.
주심(Referee) 1명, 라인즈퍼슨(Linesperson) 2명, 부심(Umpire) 4명의 경기 임원(Match Official)들이 경기의 규칙을 적용한다. 경기 중 주심은 주요 경기 임원으로서 선수들이 헐링경기 규칙(Playing Rules of Hurling)을 준수하도록 감독해야 한다. 경기장의 양 측면에는 라인즈퍼슨이 1명이 배당되어 주심을 보조하고, 슬리터가 라인을 넘었을 때 알려준다. 2명의 부심은 경기장의 양쪽 끝에 있는 골대에 자리한다. 부심은 선수가 득점했는지 안 했는지(슬리터가 가로대 위로 들어감), 골을 넣었는지(슬리터가 가로대 아래로 들어감)를 표시한다. 경기 임원은 각자의 역할을 훈련받아야 한다.
GAA는 헐링경기규칙을 승인하고 규제하는 일을 한다. 아울러 모든 레벨(클럽/주)에서 대회를 승인하고 조직한다. 이외에도 선수들, 코치, 경기 임원들을 대상으로 학습 및 발전 기회를 제공할 책임이 있다.
무형유산의 의미
헐링은 아일랜드 문화에서 본질적인 부분이며, 건강과 보건, 복지, 포용, 팀 정신, 공동체 정체성의 증진에 있어 최고이기 때문에 하나의 공동체에 국한된 유산이 아닌 현대 아일랜드 사회적 구조의 핵심적 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헐링은 아일랜드 국민과 해외 이주민을 이어주는 과거와의 연결고리이며, 정체성을 갖게 하는 대체 불가능한 유산이다. 헐링은 민담, 신화, 전설과도 연결된다. 헐링 경기와 관련된 고대의 전사나 영웅들은 말할 것도 없지만 현대 아일랜드에서 헐링은 아일랜드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공동체를 포용하는 바탕이다. 사회적 배경이나 국적과 무관하게 아일랜드 전역의 학교와 클럽에서는 어린이들에게 헐리를 잡아볼 기회를 주고, 헐링 경기를 하면서 즐거움을 나누고 있다. 이러한 경험은 어린이들에게 소속감을 갖게 하고, 글로벌 헐링 공동체의 일원으로 성장하게 한다.
헐리와 슬로터는 아일랜드에서도 그렇지만 세계적으로 아일랜드의 고유한 특징이라고 인식되는 상징이다.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헐리와 슬로터는 도전적이지만 성취감이 높은 헐링 경기를 완전히 습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약속과 헌신, 기술을 상징한다. 물론 남녀 선수들은 스포츠인으로서 경기에서 반드시 이기고 싶어 한다. 그러나 헐링 경기에 참여한다는 것 자체는 공동체의 일원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광범한 의미의 전인(全人)적 의의가 있다.
궁극적으로 헐링 경기는 과거와의 연결, 유산과의 연결, 공동체와의 연결, 그리고 서로서로를 연결하는 관계에 관한 것이다.
전승정보
헐링 경기는 2000년의 역사를 자랑하며 1884년까지는 정해진 규칙이 없었다. 이 기간 동안 경기 기술의 전승은 실제로 경기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19세기에 헐링이 사라져간다는 우려가 커졌다. 1884년, 아일랜드 언어와 문학, 경기를 보호·보존하기 위한 광범한 문화운동인 게일부흥(Gaelic Revival)이 일어났고 그 일환으로 GAA가 설립되었다. 이후부터 GAA는 헐링의 기술과 가치를 전승하는 시스템 구축에 책임을 지고 있다.
오늘날 아일랜드 전역과 해외의 학교와 클럽 등에서 그리고 주 정부 주최의 강습과 경기를 통해 헐링 기술이 보호되고 다음 세대로 전승되고 있다. 자원봉사 코치들은 지역의 학교와 클럽에서 헐링 강습을 조직할 책임이 있으며, U.6부터 성인 수준까지 각 연령대에 따른 경기 프로그램을 만든다. GAA와 카모기협회 역시 자원봉사들이 코치나 심판으로서의 자격을 갖출 수 있도록 강의와 워크숍을 열고 자격증을 개발했다.
아울러 헐링 경기가 텔레비전으로 방송되면서 헐링 기술이 널리 전파되었다. 텔레비전 방송 경기는 일반적으로 남성 경기든 여성 경기든 또는 클럽 대회든 주정부 주최 대회든 최고 수준의 성인 경기이다. 이런 경기가 있는 날에는 엄청난 관중이 경기장을 찾으며 중계방송의 시청률도 높다. 일례로 2016년 크로크파크(Croke Park)에서 열린 아일랜드전국시니어헐링(All Ireland Senior Hurling) 대회의 결승전을 관람한 관객수는 82,300명이며, TV나 인터넷으로 이 경기를 본 시청자 수는 90만 명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