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세정보
국가 : 오스트리아(Austria), 헝가리(Hungary)
위치 : 오스트리아 부르겐란트 주(State of Burgenland (AT)), 헝가리 죄르모손쇼프론 주(County of Györ-Moson-Sopron (HU))
좌표 : N47 43 9.4, E16 43 21.8
등재연도 : 2001년
요약
페르퇴/노이지들러 호(湖) 문화 경관(Fertö/Neusiedlersee Cultural Landscape)은 8,000년에 걸쳐서 서로 다른 문화가 교류했던 지역이었다. 이곳의 농업 경관 및 근대의 궁전 등이 어우러져 만들어낸 독특한 문화 경관은 인간 활동과 자연 환경 간의 진화적 공생 관계의 결과이다. 호수를 둘러싸고 있는 마을의 놀라운 전원 건축물과 18, 19세기 궁전들은 이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한층 높여준다.
영문명
Fertö / Neusiedlersee Cultural Landscape
등재기준
기준 (ⅴ) : 페르퇴-노이지들러 호수는 8,000년 동안에 걸쳐서 서로 다른 문화가 교류하는 지역이었다. 그러한 주변의 농업 경관 및 근대의 궁전 등이 어우러진 독특한 문화 경관은 인간 활동과 자연 환경간의 진화적 공생 관계의 결과이다.
역사적 배경
이 지역은 기원전 6000년경부터 11세기 헝가리 국가가 설립될 때까지, 11세기부터 현재까지의 두 기간으로 크게 나뉜다. 이 경관은 적어도 기원전 제6천년기(the 6th millennium BC, 기원전 6000~기원전 5001)에 개발되기 시작했다. 신석기 시대 초기에는 거대한 부락들이 있었는데, 이 부락은 호수의 남쪽 호반을 따라 형성되어 있었다. 신석기 시대 후반의 특징은 바로 주변 지역과 문화적으로 연결되었다는 점, 그리고 무역 활동에 있다. 이 독특한 문화적 특징은 촌락이 각기 다른 지역에 있었고 목축업이 경제의 기반이었던 기원전 제4천년기기 초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야금술이 기원전 2000년경에 시작되었으며, 이로 인해 그 후 이 지역은 기원전 제2천년기에 유럽의 번영을 공유했다. 이와 같은 사실을 보여 주는 것으로 이 호수 주변의 발트 해와 아드리아 해를 연결하는 ‘호박길(Amber Route)’을 따라 호박석이 확산된 것을 들 수 있다.
기원전 7세기부터 호반 지역은 인구 밀도가 높았으며, 이는 최초로 철기 시대 초반 할슈타트 기(Age Hallstatt)부터 선사 시대 후반을 거쳐 로마 시대까지 유지되었다. 호수 주변의 거의 모든 마을 지역에는 로마 시대 빌라의 유적이 남아 있다. 페르퇴라코스(Fertörákos) 지역에 있는 두 빌라에는 방문자에게 개방된 3세기 미트라교 성전(Mithraic temple)도 있다. 그러나 4세기 후반에 로마 제국의 패권이 종결되고, 이후에는 9세기의 아바르 제국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변화와 민족의 교체, 여러 차례의 침략을 겪었다. 헝가리 인들은 카르파티아 분지를 점령하였으며, 서기 900년에 호수 지역의 지배자가 되었다.
11세기에는 새로운 국가와 공공 행정 체계가 확립되었다. 선사 시대와 로마 시대의 기원을 가지고 있는 쇼프론 지역은 집행관이 있는 지역이 되었으며 그 이름을 딴 자치 중심의 지역이 되었다. 도시와 마을의 현재 네트워크 기반은 12, 13세기에 형성되었으며, 재정적 의무가 경감되었던 1277년 이후 그 시장이 활성화되었다. 13세기부터 독일 정착민들이 이주하여 중세까지 계속되었다. 13세기 중반 타타르의 침공 때에도 이 지역은 피해를 입지 않았으며, 16세기 후반 터키 인들에 의해 정복당할 때까지 중세 동안에는 큰 방해 없이 발전했다. 이때의 경제적 기반은 가축과 와인의 수출이었다. 특히 러스트 지역은 와인 무역으로 번영하였다.
신흥 오스만 제국의 위협으로 인해 16세기 전반에 처음으로 요새를 건설했으며, 그 이후 17~19세기에는 이 지역 건축 시기의 시작을 알리는 내부 건물을 세우게 되었다. 1769년~1790년, 요제프 하이든의 작품들은 페르퇴드 에스테르하지 궁전에서 초연되었다. 이 궁전은 베르사유 궁전을 모델로 하여 건축된 것으로 18세기 헝가리 궁전 중 가장 주요한 곳이다. 궁전, 정원과 공원의 도면은 에스테르하자라는 기하학적 선으로 신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궁전 지역 바깥에는 공공 건물, 공업 지역과 주거 지역이 있다. 궁전 자체는 둥근 내부 코너가 있는 정사각형에 배치되어 있다. 남쪽에는 거대한 프랑스 바로크식 정원이 있다. 이 정원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현재의 모습은 1762년에 만들어진 것이다.
1848년 이후 농민이 해방되고 1867년 이후 정치가 발전하면서 건축 사업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19세기 후반에 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은 철도 건설과 용수 관리 시설의 완성이다. 20세기 들어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생긴 오스트리아·헝가리 사이의 국경은 이 지역을 둘로 나누었지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공산 세계와 나머지 유럽 사이에 철의 장막이 생기자 그때부터는 완전히 분리되었다. 최초로 베를린 장벽의 벽돌이 부서진 지역이 바로 페르퇴라코스이며, 이곳은 바로 베를린 장벽의 첫 벽돌이 무너져 내린 장소이기도 하다. 이때 범유럽피크닉(Pan-European Picnic)에 참가한 사람들이 철조망을 무너뜨리고 그 호수를 여전히 가로지르고 있던 국경을 다시 개방했다.
이 호수를 둘러싸고 있는 시골의 놀라운 전원풍 건축과 18세기, 19세기 궁전들은 이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더해 준다. 나기셍크 읍의 궁전과 페르퇴드 궁전은 보호구역 외부에 있는 핵심 지역의 부속 영역에 포함되어 있다. 호수의 남쪽 끝에 있는 세체니 궁은 큰 공원의 중심지에 모여 있는 부속 건물군 가운데 하나로서, 18세기 중반에 이전의 저택 부지에 건설되었다. 이 궁은 1800년경에 지금의 형태와 모습 중의 일부를 갖추었다. 바로크 양식의 궁전 정원은 17세기에 지어졌으며, 18세기 말에 영국식 조경 정원이 갖추어졌다.
유산면적
52㏊
완충지역
40㏊
참고번호
772rev
본문
페르퇴/ 노이지들러 호와 주변 지역은 인류의 정착과 토지 사용의 뛰어난 예이며 당시의 문화와 생활을 볼 수 있는 곳이다. 목축과 포도 재배를 목적으로 1,000년 동안 토지를 사용함으로써 이곳의 경관은 다른 유럽 호수 지역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특징을 볼 수 있다. 루스트(Rust) 지역의 이 중세 자유 도시는 전통적인 인류 정착을 대표하는 뛰어난 예라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하다. 이 도시의 건축물은 도시민과 농민의 삶이 통합된 방식의 특별한 건축 형태를 보인다.
이곳의 호수는 70㎞ 떨어진 알프스 산맥과,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두 영토에 해당하는 저지 사이에 있다. 호수 주위 넓은 범위에 걸쳐 갈대숲이 있으며, 호수 자체는 침전이 진행된 상태이다. 이 호수는 활발한 용수관리 체계로 500년간 존속해왔다. 19세기에는 한자크(Hanság) 운하가 개설되면서 민물 습지대로부터 호수를 고립시켰다.
1912년에 남쪽 헤지쾨(Hegykö) 지역까지 이르는 원형 댐이 완공된 이후 홍수를 막고 있다. 이 지역의 경우, 기원전 6000년경부터 11세기 헝가리 국가가 설립될 때까지, 11세기부터 오늘날까지의 두 기간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세계문화유산 지역은 10세기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 헝가리 영토였던 지역에 있다. 기원전 7세기부터 호반 지역에는 인구밀도가 높았으며, 이는 철기 시대 초기부터 선사 시대 후반, 로마 시대까지 유지되었다. 호수 주변의 거의 모든 마을 지역에는 로마 시대 빌라의 유적이 남아 있다.
도시와 마을의 오늘날 네트워크 기반은 12, 13세기에 형성되었으며, 재정적 의무가 경감되었던 1277년 이후 시장이 활성화되었다. 13세기부터 독일 정착민들이 이주하여 중세까지 계속되었다. 13세기 중반 타타르의 침공 때에도 이 지역은 피해를 입지 않았으며, 16세기 후반 터키 인들에 의해 정복당할 때까지 중세 동안에는 큰 방해 없이 발전했다. 이때의 경제적 기반은 가축과 와인의 수출이었다. 특히 러스트(Rust) 지역은 와인 무역으로 번영하였다.
신흥 오스만 제국의 위협으로 인해 16세기 전반에 처음으로 요새를 건설했으며, 그 이후 17~19세기에는 이 지역 건축 시기의 시작을 알리는 내부 건물을 세우게 되었다. 이 호수를 둘러싸고 있는 시골의 놀라운 전원풍 건축과 18세기, 19세기 궁전들은 이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높여 주고 있다. 나기셍크(Nagycenk) 읍의 궁전과 페르퇴드(Fertöd) 궁전은 핵심 지역인 보호구역 외부에 있는 부속 영역이다. 호수의 남쪽 끝에 있는 세체니(Széchenyi) 궁은 큰 공원의 중심지에 모여 있는 부속 건물군 가운데 하나로서, 18세기 중반에 이전의 저택 부지에 건설되었다. 이 궁은 1800년경에 지금의 형태와 모습 중의 일부를 갖추었다. 바로크 양식의 궁전 정원은 17세기에 지어졌으며, 18세기 말에 영국식 조경 정원이 갖추어졌다.
1769년~1790년, 요제프 하이든(Josef Haydn)의 작품들은 페르퇴드 에스테르하지(Fertöd Esterházy) 궁전에서 초연되었다. 이 궁전은 베르사유 궁전을 모델로 하여 건축된 것으로 18세기 헝가리 궁전 중 가장 주요한 곳이다. 궁전, 정원과 공원의 도면은 에스테르하자(Esterháza)라는 기하학적 선으로 신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궁전 지역 바깥에는 공공건물, 공업 지역과 주거 지역이 있다. 궁전 자체는 둥근 내부 코너가 있는 정사각형에 배치되어 있다. 남쪽에는 거대한 프랑스 바로크식 정원이 있다. 이 정원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오늘날의 모습은 1762년에 만들어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