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ndscape for Breeding and Training of Ceremonial Carriage Horses at Kladruby nad Labem
© National Stud Farm at Kladruby nad Labem, s.p.o.
상세정보
국가 : 체코(Czech Republic)
위치 : N50 03 23.94 E15 29 03.33
등재연도 : 2019
영문명
Landscape for Breeding and Training of Ceremonial Carriage Horses at Kladruby nad Labem
등재기준
기준 (ii) : 이 유산에서는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유럽의 경관 건축(정원)과 관련된 주요한 문화적 교류를 볼 수 있다. 이것은 앙드레 드 노트르의 구성 원칙이 적용된 중요한 사례이며, 실용적인 경관을 설계하는 영국식 경관 건축 원칙이 적용된 증거이기도 하다. 경관의 기능적 배치는 말들을 행사에 동원했던 황실과 왕실이 마차용 말의 사육과 훈련에 대한 정보와 경험을 상호교환 했던 결과이다. 지금까지도 완벽하게 기능하고 있는 이 경관에는 철저한 경제적 이용 목적과 정형적 아름다움이 공존하고 있다. 이 유산은 마차용 말을 사육하고 훈련시키는 데 이용하기 위해 조화로운 문화 경관을 의도적으로 창조한 접근법과 아이디어의 발전 과정이 이례적으로 잘 보전된 사례이다.
기준 (iv) : 이 유산은 의전마차용 말의 사육과 훈련에 대한 수요에 부응하는 완벽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프랑스식 고전주의 정원 원칙과 영국식 경관 원칙을 결합시켜 의도적으로 세심하게 경관을 조성하고 수백 년에 걸쳐 발전시킨 세계적으로 탁월한 사례이다. 이곳은 사회지도층들이 독특한 말의 사육 관행을 지원하며 우대한 근대 유럽 역사상 중요한 시대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관을 지원한 사회 지도층은 합스부르크 왕실로 대표된다. 그러므로 이 유산은 유럽 문명사 400년 동안의 최상위 사회계층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국제적 관점에서 이 유산은 의전마차용 말의 사육과 훈련에 특별히 중점을 둔 400년에 걸친 유럽 승마 문화의 발전상을 보여주는 독특하며 포괄적인 사례이다.
기준 (iv) : 이 유산은 갈라 카로시에 타입의 의전마차용 말의 사육과 훈련에 자연 환경을 이용한 전통적 경관 이용에 관한 완벽한 사례이다. 이와 같은 동종의 경관으로는 세계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사례이다. 귀족들은 자신들의 특권을 과시할 목적으로 화려한 행사에서 의전마차용 말을 이용하고자 했고 이러한 사회 지도층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연 환경을 의도적으로 조직하던 시기였던 바로크 시대부터의 역사를 대표한다. 수백 년 동안, 이 경관에서 말을 사육하고 훈련시키는 일은 자연환경과 밀접한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졌다. 온화한 기후, 수문학, 지역의 토양과 식생 등은 말이 태어나서 의전마차용으로 사육되고 훈련을 마칠 때까지 다른 어떤 곳에도 의존하지 않고 이곳에서 모든 지원과 과정을 모자람 없이 충족할 수 있었던 중요한 바탕이었다. 의전마차용 말의 사육과 훈련, 그리고 이 경관의 유지 업무는 지역민들의 생계에도 중요한 수단이었다.
탁월한 보편적 가치
‘클라드루비 나드 라벰(Kladruby nad Labem)’은 폴랍스카 니지나(Polabská nížina 엘베 강 저지대(Elbe Lowland))에 있는 스트르제드니 폴라비(Střední Polabí) 지리경제적 지역에 있다. 이곳의 지리형태적 특징은 말의 번식을 촉진하고 의전마차용 말을 사육하고 훈련하기 위한 특별한 경관을 구현하기에 알맞은 환경을 제공했다. 사람들이 이곳에 처음 정착한 시기는 중세시대이다. 1491년 이후, 페른슈테이나(Pernštejna, Pernstein) 가문은 클라드루비 나드 라벰에 사슴 농장을 조성하고 관리했다. 1560년도 체코 왕실(보헤미안 왕국을 통치)은 당시의 통치자를 대신하여 사슴 농장을 포함한 파라두비체 영지(Pardubice estate)를 인수했다. 1563년 합스부르크의 막시밀리안 2세(Maximilian II,1527~1576)가 종마장(Stud Farm)을 만들었고, 1579년 3월 6일, 그의 후계자인 루돌프 2세(Rudolf II, 1552~1612)가 황실 종마장으로 인가를 승인했다. 17세기 초반 이후 이 종마장은 주변 경관(지역)과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며 황실에만 공급하는 갈라 카로시에 타입(gala carrossier type)의 의전용 사륜마차를 끄는 말을 전문적으로 사육하였다. 이 유산 내에 있는 역사적으로 가치 있는 농장 건축물들은 현재까지도 운영되고 있으며 독특한 경관 내에서 기능적 중심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유산은 다음의 2가지의 범주의 경관을 보기 드물게 통합한 사례이다. 하나는 이곳이 지금까지도 주요 기능을 계속 하며 유기적으로 진화하고 있는 경관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이곳이 의전마차용 말을 전문적으로 사육하고 훈련하는 장식 농장인 ‘페르메 오르네(ferme ornée, 장식적 기능과 농장의 기능이 동시에 있는 정원)’의 한 사례로서 인간이 의도적으로 설계하고 창조한 경관이라는 점이다. 이 2가지 범주의 경관이 통합됨에 따라 이 유산은 종마장이라고 명확하게 정의된 농장이면서 동시에 살아있고 진화하는 경관이 되었다. 이 2가지 기능은 고유한 성격에 기초하되 비록 두 기능이 서로에 대해 모순될지라도 서로 얽힌 상태로 통합되어 있다. 이곳에는 요란스럽지 않은 소박한 농장 건축물과 도드라지지 않는 마을의 구조, 중요한 장소를 강조하는 조각상을 특징으로 한 프랑스식 고전주의 정원의 원리를 기초로 한 정형적 목초지 경관의 배치를 따르고 있다. 더불어 이 목초지 경관은 회화적 원근법의 원리를 교묘하게 다루어 마치 한 폭의 풍경화를 떠오르게 하는데, 이곳에 서식하는 광범위한 관상용 수목으로 인해 이 풍경화는 한층 풍성해져 완벽한 낭만적 픽처레스크 경관 공원(picturesque landscape park)으로 완성되었다. 이 유산은 마차용 말의 사육과 훈련 공간의 설계에 미친 영향에 대해 설명하는 살아있는 증거이다. 경관의 레이아웃은 이 경관의 축인 큰 도로, 길, 건축물로 들어가는 진입로, 수로, 대칭적 건물들, 그리고 이러한 건축적 요소들의 관계와 그 기능적 요소들이 가시적으로 명확하게 드러나는 곳으로서, 특정한 목적의 경관 설계를 창조한 앙드레 드 노트르(André Le Nôtre, 1613~1700)의 프랑스식 정형적 정원(French formal garden)의 구성 원칙이 창의적으로 적용된 탁월한 사례이다. 또한 경관에 프랑스식 정형적 정원 원칙을 적용한 당시에는 이미 세계의 다른 어디에서도 이 원칙을 더 이상 적용하지 않았기에 더욱 독특하다. 이 유산은 다른 경관에 비해 앙드레 드 노트르의 원칙을 뒤늦게 적용함으로써 오히려 정형적 정원 원칙의 생명력을 입증했고, 또한 주 고객으로서 이러한 수정을 위탁한 합스부르크 왕실의 보수적인 취향에 대해서도 증언한다.
더불어 이 경관은 수용 가능했던 당시의 문화적 규범 수준을 반영하고 있다. 영국식 픽처레스크 경관 원칙은 모슈니체 경관 공원(Mošnice Landscaped Park)의 설계에 탁월하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적용되었다. 회화적 공간이라고 착각할 정도의 효과를 얻기 위해 경관 내에 자생하는 수목뿐 아니라 유입종 관상용 수목종을 들여와 가꾸었는데, 경관 전체에서 표현될 광범위한 색채를 고려하여 나무와 관목들을 의도적으로 배치하는 회화적 원근법의 구성 원칙을 적용하여 경관을 창조했다. 이 멋진 경치는 엘베 강의 곡류들의 마지막 흔적이기도 한 우각호(牛角湖)에 반사되어 나타난다. 고전적인 구성에 따라서 목초지 여기저기에 조성된 소규모 나무군락들은 영국 조경의 영향이 유산에 각인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이와 같이 프랑스식 조경 원칙과 영국식 조경 원칙의 창조적 융합, 즉 일차적 경제적 기능을 수행하는 부지 내의 정원에 이 2가지 기능을 융합하는 놀라운 구성이 탄생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여러 요소들은 ‘클라드루비 나드 라벰의 의전마차용 말의 사육과 훈련 경관’을 매우 특별한 곳으로 만들어주었다.
경관의 기능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별한 접근법은 경관 구성 그 자체에 잘 표현되어 있다. 클라드루비 나드 라벰의 경우 마구간으로 향하는 아치형의 통로가 고전주의적인 주요 공간 구성축의 시작점인데 다른 유사한 종마장처럼 영주 저택(Manor House) 앞에서 시작되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이다. 클라드루비 나드 라벰 농장 건축물들의 구조적 배치와 자재에는, 황실 가족이 찾아와 머물던 영주 저택이 일렬로 늘어선 나무들에 가려진 시각적 측면이나 마구간 주입구가 양쪽 부속 건물보다 낮게 배치된 절대적 측면과 같이 다른 건축물의 형태를 억제하여 실용적인 기능을 우선시 하고자 한 의도가 표현되어 있다. 성 바츨라프와 레오폴트 성당(Saint Wenceslas and Leopold Church)의 신도석도 농장의 마구간 건물보다 높지 않다. 건축적이고 조경적인 수단을 이용해 경관의 순수한 경제적 기능을 강조한 모습은 매우 독특한 사례이다. 특히 사회 지도층들의 대저택이 있는 경관의 경우 더욱 그렇다. 이 유산은 의심의 여지없이 지금도 지속되고 있는 기능인 ‘마차용 말의 사육과 훈련’에 관한 모든 중요한 속성들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곳은 미적으로 가장 아름다운 형태로 꾸준히 발전해왔으며, 결과적으로 특별한 종류의 ‘페르메 오르네’가 되었으며, 이는 이 유산의 국제적 중요성과 기능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 유산의 기능 덕분에 이곳은 400년 동안이나 유럽 문명사에서 사회적 최상위 계층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국제적 관점에서 볼 때 특히 의전마차용 말들의 사육과 훈련을 전문적으로 하는 곳으로써 독특하고 포괄적인 유럽의 승마 문화의 발전을 대표한다.
완전성
오늘날까지 이 유산은 잘 보존되었으며, 과거 황실로부터 위탁받은 마차용 말의 수량을 공급하기 위해 사육 말의 규모를 고려하여 설정된 역사적 경계와 영역을 유산으로 선정했다. 경관의 실용적 목적은 전체 말을 사육할 만한 적당한 크기의 목지, 건초 생산을 위한 초지, 곡물 사료 생산을 위한 경지, 건축물 자재와 땔감에 쓰일 목재 생산을 위한 숲, 충분한 수자원 등의 주요 요소들과 함께 마차용 말의 훈련에 꼭 필요한 길과 주행로, 다양한 기능의 건축물들 등을 통해서 지금까지도 완전하게 표현되고 있다. 이 유산은 과거부터 지금까지도 여전히 말을 성공적으로 사육하기 위한 모든 자원과 훈련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말의 사육은 옛 마구간들과 기능적인 특징이 다른 각 부대시설에서 이루어진다. 농장 전체 건물에는 19세기 초반부터 해마다 개선된 마차용 말을 마구간에서 사육하기 위한 여건들이 반영되어 있다. 이 건축물 앙상블은 어떤 것도 철거된 적이 없으며, 오직 섬세하게 보완되었을 뿐 크게 변경된 적도 없고, 2014년부터 2015년까지 모두 성공적으로 복원되었다. 가로수가 줄지어 늘어선 길들, 물길, 목초지 구성단위의 그리드(grid) 등을 포함하여 모든 구성 요소들이 보존되었기 때문에 이 유산의 고전주의적인 정형적 구성의 완전성은 완벽하게 보존되어 왔다.
모슈니체의 낭만적인 픽처레스크 공원의 경관 구성 요소들의 완전성 역시 잘 보존되어 있다. 원근법의 구성적 원칙에 따라 단독으로 배치된 나무들과 무리 지어 있는 초목들의 풍부한 모양새에 부채꼴과 같은 풍경이 열리는 마차용 통행로, 이전의 구불구불한 옛 강이 만든 우각호와 범람원 삼림의 흔적 속에서 자연적으로 재생된 충적토의 식생 등의 완전성은 잘 보존되었다.
이 유산의 북쪽 영역에 있는 생산적인 숲의 완전성은 뚜렷하게 구분되는 직선적 연결망과 말을 훈련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숲길 통행로에 잘 표현되어 있다. 유산 내에 유기적으로 발전한 시골 정주지는 거주용 주택들의 구조적 형태와 역사적 레이아웃 안에 그 완전성을 보전하고 있다.
진정성
경관의 기능적 진정성도 잘 보존되어 있다. 이 유산은 지금도 의전마차용 말을 사육하고 훈련시키는 데에 이용되며, 특별히 스타로클라드룹스키 쿤(Starokladrubský kůň, 클라드루버(Kladruber)) 종을 육종하고 있다. 파트드와(patte d’oie, 거위 발 형태로 뻗는 부채꼴로 뻗은 레이아웃)·에투왈(etoile, 별의 형태로 중심에서 사방으로 뻗은 레이아웃)·캐비넷 드 베르뒤어(cabinet de verdure, 나무들로 둘러싸인 작은 방과 같은 공간) 등과 같은 프랑스식 정원 설계 원칙이 클럼프(clumps, 소규모 나무 군락)·컨트리 파크(country park, 전원 공원) 등과 같은 영국식 정원 설계 원칙과 융합된 독특한 구성 또한 잘 보존되어 있다. 경관의 구성을 구분하는 줄지어 늘어선 초목(가로수 통행로, 거리들, 방풍림들, 그리고 물길을 따라 심은 식생들)들도 자생종의 형태와 전체적인 패턴 안에 보존되어 있다. 마구간 단지와 종마장의 다른 부대시설들은 원래의 고전적 설계에 따라 면밀히 보존되었으므로 진정성이 있다. 복원에 있어, 시대의 변천에 따라 개선된 변경 공사는 유산의 점진적인 진화를 증언하는 건물 및 양식에 대한 증거로 여겨진다. 기능적으로나 경관의 구성적으로 중요한 수로망은 1876년 당시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서 그 진정성을 엿볼 수 있다. 유산의 유지에는 전통자재가 사용되었다. 목초지의 울타리를 유지 보수하는 데에도 비슷한 접근이 이루어졌다. 마을 안에 있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시가지 구조물은 근대 산업 발전에 희생되지 않고 남아 있어, 시골과의 본질적인 관련성도 보존되어 있다.
보존 및 관리체계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보장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등과 같은 원칙이 필요하다.
- 예방적 도구이자 국가 문화유산기관 및 현장관리자에게 조기 자문 수단으로서 해마다 국가 점검 체계를 정기적으로 적용
- 유산의 부지 안에서 체코 정부가 소유하는 모든 자산을 단일한 현장관리자에게 양도함으로써 등재된 유산을 국립 클라드루비 나드 라벰 종마장(National Stud Farm at Kladruby nad Labem s.p.o.) 등과 같은 단일 주체의 관리 하에 놓이도록 필요한 법적 조치의 구비
- 유산의 구성과 마차용 말의 사육을 위한 기능적 설계를 보존하고자 역사적인 초목 복원과 관련하여 관련 부처가 정하고 동의한 원칙을 이행
- 유효한 관리 계획의 계속적인 구현, 진행상황의 검토, 적시에 계획을 갱신
- 관련 부처의 고위급 대표, 국가유산 지역기구, 유산 자산 관리에 종사하는 전문 기관, ICOMOS 국가위원회, 현장관리자, 다른 외부 협력 전문가, 지방 자치체의 대표 등이 포함된 운영위원회의 참여
유산면적
1,310 ha
완충지역
3,245 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