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odrell Bank Observatory
© Anthony Holloway
상세정보
국가 : 영국(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위치 : N53 14 2.1 W2 18 13.9
등재연도 : 2019년
영문명
Jodrell Bank Observatory
등재기준
기준 (i) : ‘조드럴뱅크 천문대’는 창조적인 천재들이 낳은 과학 및 기술적 성취의 걸작이다. 트랜싯 망원경(Transit Telescope)과 러벌 망원경 같은 혁신적인 새로운 장비를 개발하기 위해 레이더와 무선 주파수 반사율(radio frequency reflectivity)에 대한 적응과 개발이 있었다. 이는 완전히 새로운 과학 연구의 발전에서 핵심적인 부분이었고 우주 이해에 대한 극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조드럴뱅크 천문대’는 전파천문학의 개척 단계, 그리고 이후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기준 (ii) : ‘조드럴뱅크 천문대’는 전파천문학과 관련 기술의 발전에 있어서 오랜 동안 그리고 전 세계적인 차원에서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보여준다. ‘조드럴뱅크 천문대’의 과학연구는 국제적 차원의 협업 네트워크의 중심에 있었다. 특히 엄청나게 거대한 포물면 접시 망원경이나 간섭계(干涉計, interferometer)와 같은 몇 가지 중요한 기술 개발은 ‘조드럴뱅크 천문대’에서 진행되었고, 훗날 세계 여러 지역의 과학적 노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기준 (iv) : ‘조드럴뱅크 천문대’는 광학천문학에서 전파천문학으로의 전이와 관련된 결과로서 다파장 천체물리학을 통해 우주를 이해할 수 있게 된 인류 역사의 중요한 단계(1940대~1960년대)를 입증하는 뛰어난 기술 앙상블의 탁월한 사례이다. 이 유산은 또한 과학적 연구가 지원되고 수행되는 방식의 주요 변화인 ‘거대과학(Big Science)’의 평상시 개발(peacetime development)과도 관련이 있다. 전후 천문대의 개척 단계부터 현장의 정교한 대규모 연구 활동까지, 전파 천문학의 진화적 발전과 관련하여 현존하는 증거를 간직한 ‘조드럴뱅크 천문대’는 이러한 기술적 앙상블을 보여주는 탁월한 사례이다.
기준 (vi): ‘조드럴뱅크 천문대’는 탁월한 보편적 중요성을 가진 사건 및 아이디어와 직접적이고 명백하게 관련 있다. ‘조드럴뱅크 천문대’의 전파천문학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발전은 가시광선을 넘어 전자기파 스펙트럼을 탐색하는 광학 천문학의 가능성을 넘어서는 연구를 통해서 우주에 대한 혁신적인 이해를 이끌었다. ‘조드럴뱅크 천문대’에서 수행한 전파 천문학 연구는 우주의 본질 및 규모에 대한 이해의 극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탁월한 보편적 가치
‘조드럴뱅크 천문대(Jodrell Bank Observatory)’는 전파천문학의 개척 단계, 그리고 이후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조드럴뱅크 천문대’는 이전과는 확실히 다른 새로운 과학적 연구와 과학 및 기술 분야의 성취와 교류를 반영한다. 이 유산은 우주의 본질과 그 규모를 혁신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 유산은 새로운 과학 분야의 출현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전파천문학 역사의 모든 단계를 증언하는 유산이다.
‘조드럴뱅크 천문대’는 잉글랜드 북서부의 시골 마을에 있다. 본래 부지의 남쪽에서 과학 연구를 시작했지만 새로운 도구가 많이 개발되자 부지 맞은편의 북쪽으로 이동했고, 이후 남쪽 지역은 방치되었다. 이 남쪽 지역에는 초기에 천문대에서 사용한 과학적 장비의 흔적이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부지의 남쪽 끝에는 마크 Ⅱ(Mark Ⅱ) 망원경이 있으며, 이 망원경은 최초로 천문대가 가동될 당시 고유 현장 내 소박한 연구동 앙상블과 함께 고정 설치되어 있다.
녹지대의 북쪽으로 여러 개의 엔지니어링 창고와 통제관리동(Control Building)이 있는 작업 단지가 있고, 이곳에는 직경 76m에 이르는 러벌 망원경(Lovell Telescope)이 설치되어 경관을 지배하고 있다. 러벌 망원경 주변에 설치된 탐방객 시설은 일반 대중에게 개방되어 있다. 다른 탐방객 시설은 유산의 동북쪽 외곽에 있다.
‘조드럴뱅크 천문대’는 러벌과 마크 II 망원경을 비롯하여 최대 7대의 무선 망원경(e-MERLIN)이 있는 영국 전체 천문대의 중심지이다.
완전성
이 유산은 천문 연구 개척지로서 발전을 입증하는 모든 속성을 갖추고 있다. 급조된 장비, 재사용 장비, 대여 장비 등과 함께 시작부터 거의 모든 발달 단계가 건물, 물리적 유적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고고학적 흔적들에 나타나 있다. 거대한 트랜싯 망원경으로 대표되는 일부 중요 단계는 그 흔적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원형 그대로 보존되지는 못했다. 하지만 그 후에 조성된 훨씬 더 엄청난 대규모의 도구들은 오늘날까지 유산의 경계 안에 보전되었다. 이러한 도구들 가운데에는 조드럴뱅크 천문대의 상징과도 같은 러벌 망원경과 통제관리동 건물이 있다. 또한 이 유산 내에는 연구 용도로서 중요도가 떨어지지 않으며 천문대의 여러 활동을 지원하는 아주 소박한 구조물들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모든 구조물들은 매우 잘 보존된 편이고, 커다란 러벌 망원경과 마크 Ⅱ 망원경이 이 유산의 경관을 압도하고 있다. 그러나 초기의 몇몇 목조 건물들은 방치되거나 사용이 중단되어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복원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각각의 부지는 전체적으로 잘 관리 되었다. 최근에 조성된 건물들은 단순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풍기며, 유산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방해하지 않는다.
유산의 완충구역인 ‘협의구역(Consultation zone)’은 인근 지역에서의 전파 방출로부터 ‘조드럴뱅크 천문대’의 과학적 능력을 보호하고 유산의 기능적 완전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진정성
유산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았고, 이 천문대의 지속적인 과학적 사용을 위해 건설된 ’스퀘어 킬로미터 어레이(Square Kilometre Array, SKA, 초대형 전파망원경 단지)’를 제외한다면 농지라는 배경 역시 본질적으로 변함없다. 천문대의 형태와 디자인에는 이 유산의 중요한 개발 이력이 반영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해왔다. 여기에는 대다수 구조물들이 건물 자체의 중요성보다 과학적 연구에 우선순위를 두고 다소 급조된 경향이 있다. 세월의 흐름에 따라 열화된 자재는 일부 교체되기도 하였지만 자재와 재료는 대체적으로 유지되었다. 이 유산은 계속해서 과학적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보존 및 관리체계
‘조드럴뱅크 천문대’ 유산의 요소 대부분은 1990년 (등록건축물및보존지역) 계획법(Planning (Listed Buildings and Conservation Areas) Act 1990)에 의거하여 등재되었다. 2개의 주요 망원경은 가장 높은 등급인 1등급으로 등록되었다. 유산의 일부로서 그 가치가 인정되어 관리하고 있긴 하지만 현재 등록되지 않는 일부 요소가 있다.
아울러 세계유산에 등재됨으로써 국가계획및정책기본틀(National Planning Policy Framework, 2012년)과 1990년 타운및카운티계획법(Town and Country Planning Act)을 비롯한 법안들을 통해 운용되고 있는 공간계획체계에 따라 유산의 모든 속성은 가장 높은 등급인 1등급에 준하는 보호를 받게 된다. 등재된 건축물을 변경하려면 사전 승인을 얻어야 한다.
완충구역은 수십 년 동안 천문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조성된 조드럴뱅크전파망원경협의구역(Jodrell Bank Radio Telescope Consultation Zone)을 기준으로 정해졌다 완충구역은 1973년 타운및카운티계획(조드럴뱅크전파망원경) 지침에 따라 설정되었다.
이 유산은 조정을 담당하는 조드럴뱅크부지관리그룹(Jodrell Bank Site Governance Group) 위원회와 함께 맨체스터대학교가 관리한다. 이 위원회에는 3개 주요 현장 사용자 그룹 내에 내부의 핵심 이해관계자들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현장 사용자 그룹에는 자체적으로 잘 개발된 독립적인 관리 및 운영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천문대 유산을 관리하는 역할은 과학 및 공학 연구, 망원경 운영 및 엔지니어링을 담당하는 조드럴뱅크천체물리학센터(Jodrell Bank Centre for Astrophysics), 그리고 탐방객 관리와 유산 조정을 책임지는 조드럴뱅크디스커버리센터(Jodrell Bank Discovery Centre)의 일상 업무와 통합되어 있다. 이러한 사용자 그룹은 맨체스터 대학교 내의 다른 관리 주체로부터 지원받고 있다. 세 번째 현장 사용자 그룹은 유산의 경계 바로 옆에, 전체 천문대의 경계에 포함된 완충구역 내에 있는 ‘스퀘어 킬로미터 어레이기구(Square Kilometre Array Organisation)’이다.
유산의 관리는 기존의 대학 구조에 기초하며, 유산에 대한 감독권을 행사할 예정이다. 맨체스터 대학교와 사용자, 외부 이해관계자 사이의 조정을 담당하는 세계유산운영위원회가 관리를 보강하고 있다. 2016년 보존관리계획(Conservation Management Plan)은 유산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도구 및 절차에 관한 개요를 제공한다. 이 계획은 광범위한 현장지명사전(Site Gazetteer)으로 보완하여 현재 지속적으로 갱신되고 있다.
‘조드럴뱅크 천문대’는 탐방객 관리에 오랜 경험이 있다. 현재 관광관리계획이 입안되어 있고 유산에 대한 해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향후 강화될 예정이다.
유산면적
17.38ha
완충지역
18,569.22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