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Enkipaata, Eunoto and Olng’esherr, three male rites of passage of the Maasai community
설명 :© Danson Siminyu, Kenya, 2017
상세정보
국가 : 케냐(Kenya)
등재연도 : 2018년
요약
엔키파타(Enkipaata), 에우노토(Eunoto), 오른게셰르(Olng’esherr)는 단계적으로 이어지는 마사이족의 남성의 통과의례이다. 엔키파타는 소년들을 입문시키는 단계이다. 에우노토는 성년의 길에 들어선 모란(moran, 전사)의 삭발(削髮) 의식이다. 오른게셰르는 모란의 시기(moranism)가 끝나면서 동시에 연장자의 지위에 이르렀음을 기념하는 육식(肉食) 의식이다. 통과의례의 주요 연행자는 15세에서 30세까지의 젊은 마사이족 남성이지만 여성도 일정한 역할을 한다. 이 통과의례의 목표는 젊은이에게 장래에 마사이 사회에서 담당해야 할 역할을 교육하는 것이다. 통과의례는 소년을 모란 전사로, 젊은 연장자를 최종적인 최고 연장자로 이끌고 변화시키는 과정이다. 이 통과의례의 핵심적 가치는 존중과 책임, 가계의 보호, 한 시대에서 다음 세대로 권력 계승, 그리고 가축 사육, 분쟁 관리, 전설, 전통 및 생활 기술 등과 관련하여 토착 지식을 전승하는 것이다. 아직까지 이 의식에 상당수의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지만 주요 소득원인 농업의 급부상, 토지 소유권 제도의 개정, 가축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 등의 요인 때문에 이 풍습은 빠른 속도로 쇠퇴하고 있다.
영문명
Enkipaata, Eunoto and Olng’esherr, three male rites of passage of the Maasai community
지역정보
이 유산은 케냐의 그레이트 리프트 밸리(Great Rift Valley)를 따라 카지아도(Kajiado) 마을, 나록(Narok) 마을 등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이 유산은 마사이 족이 연행하며 라이키피아(Laikipia), 삼부루(Samburu), 바링고(Baringo) 마을의 일부 지역과 탄자니아 북부지방에서 행한다.
사회,문화적 기능과 의미
이 유산은 엔키파타, 에우노토, 오른게셰르라는 3단계로 이루어진 마사이족 남성의 통과의례이다. 엔키파타는 소년들을 성년으로 입문하도록 이끄는 단계이다. 에우노토는 성년의 길에 들어선 모란의 삭발 의식이다. 끝으로 오른게셰르는 모란 시기가 끝나는 동시에 연장자가 되었음을 기념하는 육식 의식이다. 엔키파타, 에우노토, 오른게셰르로 이어지는 마사이족 통과의례의 주요 연행자는 남성이지만 여성도 일정한 부분을 담당한다. 이 유산의 의식과 의례는 사회적 가치를 전달하고, 공동체가 상호작용하도록 하며, 어린이·청소년·여성·남성·연장자 등을 포함한 마사이 족의 모든 구성원들을 하나로 결속시킨다. 3단계의 통과의례는 소년을 모란 전사로, 성인을 최고 연장자로 최종적으로 이끌고 변화시키는 과정이다. 통과의례는 젊은이들을 존중과 책임, 마사이 문화의 보전과 수호, 가계의 보호, 한 시대에서 다음 세대로의 권력 계승, 그리고 연장자(불 수호자)들이 젊은 세대에게 토착 지식을 전승하는 것을 포함하여 마사이 사회에서 남성이 장래에 담당해야 할 역할을 교육한다. 전승되는 토착 지식은 가축 사육, 가족 계통, 분쟁 관리와 해결, 영속적인 마사이족의 의식, 전설, 전통, 애국심 및 생활 기술 등이다. 여성의 다산과 가축의 번식을 위한 특별한 기도가 수행되는 유일한 시기이므로 마지막에 쪼그려 앉은 채 축복을 받는 의식을 할 때는 아기를 낳지 못한 여성들의 참여가 권장된다. 마사이족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문화유산이 이 통과의례가 문화 정체성과 연속성을 갖게 한다고 여기고 있다. 이 유산은 마사이 족의 단합과 응집력, 사회적 구조를 강화하며 포용한다. 연령집단에 관해 내리는 결정과 선언은 마냐탸(Manyatta, 입문자들이 들어가는 마을)에서 나온다.
보유자와 연행자의 특징
이 무형유산의 보유자는 마사이족 가운데 훌륭한 지도자로서 자질을 갖춘 사람들이다. 이들은 정직하고, 선견지명이 있으며, 현명하고, 부유하며, 존경받을 만하고, 웅변에 능하며, 지식이 풍부하고, 신뢰를 받을 만하고, 일반적으로 부족으로부터 인정받는 사람이어야 한다. 앞선 덕목들은 통과의례에서 올아이구아나니(Olaiguanani, 연령집단의 지도자), 인코피르(Inkopirr, 연령집단의 지도자 대리), 멘예 레이오크(Menye-layiok, 연령집단의 아버지), 올로투노(Olotuno, 지도자), 올로보루 엔케네(Oloborru-enkeene, 오른게셰르 지도자), 올로이보니(Oloiboni, 영적 지도자) 등과 같은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건이다. 이 유산의 주요 연행자는 15세에서 30세까지 마사이족의 청년으로 엔키파타, 에우노토, 오른게셰르 3단계의 통과의례를 통과해야 한다. 젊은이들은 두 번째 단계의 의례인 에우노토를 마칠 때까지 머리를 깎아서는 안 된다. 모란의 시기에는 규칙과 규정에 따라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공동으로 일하고, 걷고, 먹으며, 외딴 곳에 지어진 에마냐탸(Emanyaatta)라는 오두막에서 머물러야 한다. 모란은 창과 막대, 검을 착용하고 붉은 의상(Shuka)과 전통 신발을 신어서 복장으로써 신분을 표시한다. 에우노토 의례를 마친 후 육식 의식(오른게셰르)을 함으로써 한 시기가 끝나고 새로운 연령집단에 소속되었음을 표시한다.
특별한 책임자들의 특정 역할 및 범주
엔키파타, 에우노토, 오른게셰르의 통과의례 동안 특정한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영적 지도자들이 이 유산의 규칙과 규정, 지침을 준수하도록 도울 책임이 있다. 이들은(Olotuno, Olaiguanani, Inkopirr, Menye – layiok, Oloborru-enkeene, Oloiboni) 서로 의지한다. 어린 소년들인 입문자들은 모란의 시기, 성인기, 연장자의 시기로 이어지는 남성의 통과의례를 거쳐야 한다.
올로투노는 에우노토의 지도자로서 삭발 의식을 조정하고 주도한다. 그는 모든 과정을 마칠 때까지 연령집단의 단합을 책임진다. 아울러 이 의식의 지식과 기술을 올바른 방식으로 다음 세대에 전승해야 한다. 올아이구아나니는 연령집단의 지도자이다. 인코피르(Inkopirr)는 연령집단의 지도자를 대리하는 인물이다. 멘예 레이오크(Menye-layiok)는 연령집단의 아버지이고, 올로보루 엔케네(Oloborru-enkeene)는 오른게셰르 지도자이다. 올로이보니는 조상 및 자연 세계와 소통하는 영적 지도자(제의 담당자)이다. 올로투노, 올아이구아나니, 인코피르, 멘예 레이오크, 올로보루 엔케네, 올로이보니는 연령집단의 성공을 위해 그리고 다음 연령집단으로 지식과 권한을 이전하는 하는 하나의 팀으로써 활동한다. 의식이 진행되는 동안 여성도 일정한 임무를 한다. 여성은 마냐탸에 오두막을 짓고, 의식에서 쓸 모든 공예품을 만들어 준비하며, 음식을 마련하고, 긍정적 생활 방식에 대한 특별한 메시지가 담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춘다. 또 모란의 삭발을 돕고 마냐탸에서 모란을 맞아들인다.
지식과 기술의 전승
엔키파타, 에우노토, 오른게셰르 통과의례가 진행되는 동안 입문자에게 전달되는 지식은 종합적이다. 이 지식은 입문자들을 의례로 인도하는 회의에서 구두로 전달된다. 영적 지도자의 조언과 지도가 이루어지며, 올아이구아나니와 올로투노와 같은 연령집단의 지도자와 그들의 조언자 등이 선발된다. 의식의 조직과 준비는 어린 소년소녀와 여성(미혼 또는 기혼 모두), 불의 수호자가 참여한다. 이전 연령집단의 특별한 노래와 민담, 속담, 수수께끼, 사건 등은 지식과 기술을 전달하는 참조 도구로 이용된다. 부모와 조부모는 대부분 이 유산을 어린 자녀와 손자손녀에게 비공식적인 방식으로 교육할 책임이 있다. 통과의례의 전 과정은 소년이 마사이족의 전통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이므로 신성하게 여겨진다. 그렇지만 한 연령집단에서 다음 연령집단으로 넘어가는 과정이 원활하다고 할지라도 오늘날 전체 통과의례의 전승 강도는 빠르게 약화되고 있다.
이 유산은 기존의 국제인권법규 및 공동체, 집단, 개인의 상호존중 요건을 만족하며, 지속가능한 발전과 완전하게 조화를 이룬다.
긴급 보호의 필요성
79세의 마사이 족 연장자 연령집단인 일냔구시(Ilnyangusi)의 리더인 올아이구아나니인 카마케이 올레 신티(Kamakei Ole Sinti)는 이 유산에 관한 이해를 돕는 책 『올쿠악 룰 마사이(Olkuaak Lool Maasai)』의 저자이기도 하다. 그의 관찰에 따르면 마사이족의 엔키파타, 에우노토, 오른게셰르 통과의례의 연행은 1980년대 초반부터 쇠퇴했다고 한다.
■ 전통적 전승 방법의 장점
이 유산은 전통적 전달 방식이 정교하게 마련되어 있음에도, 연행의 빈도가 감소하고 참여 또한 급감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전승 방식은 뚜렷하게 약화되고 있다. 입문자에게 사회적 가치와 생존기술을 훈련시키고 준비시키기 위해 입문자들을 숲 속에 격리하는 방식은 오늘날 거의 행하지 않는다. 이 유산은 소년과 젊은이들이 마냐타에서 공동생활을 하며 교육받음으로써 비공식적으로 전승되어 왔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부모와 함께 자신의 집에 머무르는 소년들이 증가하고 있고, 공공교육을 받는 학령기 소년들은 이 유산에 대해 충분히 이해할 만한 기회를 갖지 못하고 있다. 입문자에게 견습, 멘토십, 삶과 리더십의 기술 등을 전달하는 모란 회의는 오늘날 부족회의나 가족회의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이 유산의 비공식적 전승은 줄어들었고 긴급한 보호가 필요한 상태이다.
■ 연행자의 인구 통계 및 연행 가능성
마사이족의 남성 통과의례 엔키파타, 에우노토, 오른게셰르가 현재도 연행되긴 하지만 실제로 참여하는 사람은 지난 수년에 걸쳐 급감했다. 지금도 이 유산이 연행될 때 비교적 상당한 규모의 인파가 몰려들긴 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마사이족의 이 풍성한 문화유산을 전승하려면 부족 전원의 참여가 필요하다. 소년소녀를 마사이족의 문화생활로 이끄는 것은 연장자들의 몫이다. 통과의례의 멘토링 과정에는 문화 지식과 마사이 부족만의 가치를 전달하는 회의가 있다. 소년소녀, 젊은이, 연장자 모두가 이 중요한 의식에 참여했다. 여성들도 의식을 준비하는 과정에 참여하며 의식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성은 의식에 소용될 모든 공예품과 먹을 음식을 만들고, 입문자들이 마냐탸에 들어갈 때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었다.
■ 지속가능성과 위협
이 유산의 지속가능성 여부는 실천 여부에 달려 있다. 마사이족은 이 의식 연행의 가치를 높이 평가한다. 왜냐하면 이 의식은 마사이족에게 문화정체성과 마사이족으로서의 연속성을 느끼게 하며, 마사이족의 생명선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2010년 케냐 헌법에 따라 문화 활동, 공공 오락 및 공공시설은 지방(county) 정부의 기능과 권한으로 이양되었다. 이 유산이 집중적으로 연행되는 카지아도(Kajiado) 마을, 나록(Narok) 마을 정부는 마사이족과 협력하여 사멸 위기에 처한 문화를 부흥시키기 위해 부족 문화 축제와 같은 활동을 시작했다. 카지아도 마을과 나록 마을은 이 유산을 보호하기로 결정하고 이를 위해 별도의 예산을 책정하였다. 두 마을은 문화부, 유네스코 케냐 국가위원회, 기타 이해관계자와 손을 잡고 마사이족과 협의하여 보호 계획을 개발 및 실시하고 있다.
유목 경제에서 농업 경제로 변화되고 있는 생활방식의 변화는 이 유산의 생존에 중대한 위협이었다. 농토로 개간되고 있는 곳은 바로 과거 ‘마사이족 남성의 통과의례 : 엔키파타, 에우노토, 오른게셰르’가 연행되었던 곳이다. 통과의례에 필요한 땅이 사라지면서 이 유산의 연행 자체는 심각한 위험에 처했다.
공식 교육, 여행, 일자리를 찾아 이주하는 등 서구적 생활방식에 노출되면서 마사이족 젊은이들이 통과의례 의식에 참여하는 경우가 줄어들었다. 이런 경향은 앞으로도 이 의식의 연행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참여율은 앞으로도 점점 감소할 것이다. 마사이족의 생계는 소에 의존했기 때문에 마사이족은 이 의식을 연행하기 위해 한두 마리의 황소를 기꺼이 내놓곤 했다. 그러나 잦은 가뭄으로 지역의 기후가 변화되면서 상당수의 소떼가 폐사했고 다수의 마사이족이 빈곤에 빠졌으며, 소를 기부하는 일도 줄어들었다. 이러한 상황은 곧바로 이 풍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토지 소유권과 현행 공유토지 세분 제도가 변화함에 따라 마사이족의 영토에서 토지를 취득하기 위해 이주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목가적인 생활양식이 변화하면서 이 풍습은 큰 문제에 직면했다. 왜냐하면 이제는 이 통과의례를 하려면 개인이나 외부인 소유의 토지에서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고 말았기 때문이다. 의식을 연행할 때 공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땅의 규모가 감소한 것 또한 이 연행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앞서 언급한 위협 중 일부는 상당히 심각해서 이 유산을 지속하려면 즉각적 개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지난 10년 동안 마사이족의 땅을 강타한 가뭄 때문에 마사이족은 대규모로 목초지나 농장을 찾아 인근의 우간다나 탄자니아로 이주했거나 아니면 생계 수단과 일자리를 찾아 다른 곳으로 떠났다.
목록구분
긴급보호필요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