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aditional skills of crafting and playing Dotār
© Farhad Nazari, Iranian Cultural Heritage, Handicraft and Tourism Organization (ICHHTO)
상세정보
목록 : 대표목록
국가 : 이란이슬람공화국
등재연도 : 2019
요약
‘두타르 연주와 공예의 전통적 기술(traditional skills of crafting and playing the Dotār)’은 두타르(Dotār) 지역의 인종 집단과 공동체의 민속음악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사회적·문화적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유산의 남성 공예가와 남녀 연주자 등의 보유자 및 연행자는 대부분 농부들이다. 두타르는 발현 민속 악기이다. 울림통은 말린 목재 또는 뽕나무로 만들고, 목 부분은 살구나무나 호두나무를 이용해 만든 배 모양의 2현 악기이다. 어떤 사람들은 1현은 남성을 상징하며 화음을 내고, 나머지 1현은 여성을 상징하며 주요 선율을 연주한다고 생각한다.
연행자들은 결혼식이나 파티, 축하행사 또는 의식행사 등과 같은 중요한 사회문화 행사에서 두타르를 연주한다. 최근 수십 년 동안 지방, 지역, 국가 및 국제 축제에서도 연행되었다. 연행자들은 연주를 하는 동안 자신의 민족사와 자긍심, 정체성의 중심이 되는 서사적·역사적·서정적·도덕적·영지적인 이야기를 읊는다. ‘두타르 연주와 공예의 전통적 기술’은 스승이 제자에게 비공식적 방식으로 전승하며, 보유자들의 역사와 환경을 표현하는 유산이다. 이 유산은 현지의 구술문학과 기록 문학에도 남아 있다. 이 유산은 이웃 지역공동체 및 국가와의 평화 공존, 상호존중 및 이해를 촉진한다.
영문명
Traditional skills of crafting and playing Dotār
지역정보
‘두타르 연주와 공예의 전통적 기술’은 이란의 민속음악 유산이다. 수세기에 걸쳐 이란 북동부 지방과 이웃 나라에서는 두타르를 제작하고 연주했다. 이 유산이 연행되는 이란 내의 지역은 다음과 같다.
- 호라산 주 북부 : 코우찬(Qouchan), 쉬라반(Shiravān), 보즈누르드(Bojnūrd), 다레 가즈(Darreh Gaz), 에스파라엔 아쉬크아(Esfarayen, Āshkhā).
- 호라산에라자비(Razavi Khorasan) 주 : 토르바테 잼(Torbat-e Jam), 타야바드(Tāyābād), 바하르즈(Bākharz), 화프(Khwaf), 카쉬마르(Kāshmar).
- 호라산 주 남부 : 비잔드(Birjand)
- 골레스탄(Golestan) 주 : 투르카만 사하라 반다레 투르카만(Turkaman Sahrā Bandar-e Turkaman), 곤바드(Gonbad), 고르간(Gorgān), 모라베 테페 테페(Morāveh Tepe Tepe), 카투 지역(Katūl Destrict)
- 마잔다란(Mazandaran) 주 : 사리(Sari), 베흐샤하르(Behshahr)
전통적으로 두타르는 시골과 도시에 있는 가정의 크고 작은 공방에서 제작되었다. 공예기술 외에도 일부 장인들은 연주를 통해 젊은 세대를 훈련시킨다. 다양한 지역에서 제작 및 연주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지역에서 제작된 두타르는 크기와 울림통의 형태, 프렛의 개수, 목의 장식, 연주법 등이 다르다.
예능보유자
두타르의 연주자, 공예가, 트레이너가 주요한 보유자로서 이들은 사회적 지위가 높다. “두타리스(Dotārīs)”는 호라산에라자비 주의 동부 지역과 마잔다란 주에서 활동하는 명인인 두타르 연주자들을 말하며, 연주와 함께 서사를 읊는다. 그들은 전통적으로 대대로 비공식적 방식으로 연주법을 익혀온 사람으로 제자들도 같은 방식으로 배우고 있다. 거의 모든 공예가들은 남성이지만 두타르 연주자는 연령과 성별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자신의 개인 공방에서 두타르를 만들면서 동시에 제자에게 연주를 가르치는 공예인 호세인 다만팍(Hossein Daman-Pak)의 경우처럼 일부공예가들은 연주도 하고 제자도 훈련시킨다.
이런 연주자 및 공예가는 종교적·역사적·문학적·도덕적 가치가 담긴 서사를 전하므로 매우 높은 사회적 지위를 누리고 있다. 또한, 이들은 지역공동체나 민족 집단에 문제가 발생할 때 분쟁을 해결해달라는 요청을 받기도 한다. “바크쉬스(Bakhshīs)”는 “두타리스”와 동일하지만 호라산 북쪽과 투르크멘사라(Turkaman Sahra) 지역에만 있다.
“바크쉬스”와 “두타리스”는 두타르를 연행하는 이란 북동부 지역의 주요 연주자로서 지방·지역·국가·국제 수준의 음악축제에 초대받기도 한다. 보유자들의 가장 중요한 책무는 이 유산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의 일부를 전승하는 것이다.
무형유산의 의미
두타르가 연행되는 지역에서는 즐거운 파티와 결혼식, 가족이나 친구들이 모이는 저녁의 모임, 영지주의 의식 등이 있을 때 두타르를 연주한다. 두타르는 연행되는 지역의 인종적·지역적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다. 두타르의 소리는 청중을 진정시키고 연행되는 지역의 전통문화 이면에 숨겨진 기쁨을 밝힌다. 연주하는 동안 연행자들은 자신의 민족사와 자긍심, 정체성이 담긴 서사적·역사적·서정적·도덕적·영지적인 이야기를 읊는다. 결과적으로 두타르의 연행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정체성의 일부 또한 보호한다. 연주를 듣는 청중은 고향의 음악에 더욱 끌리기 때문에 두타르 연주자들은 모든 개인 및 가족 축하행사와 파티에 초대되었다.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두타르의 연행에도 약간의 변화가 생겼다. 예를 들어 두타르는 보통 독주로 연주했지만 오늘날은 연주자들은 악단을 조직하기도 하며, 다른 전통 악기를 연주하는 악단에 합류하기도 한다. 이러한 동반 연주는 긍정적일뿐만 아니라 특히 젊은 청중들에게 유산의 생명력과 지속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
최근 수십 년 동안 두타르는 지방, 지역, 국가 및 국제 수준의 음악축제에서도 연주되었다. 주목할 점은 두타르 연주자들이 민속 의상 또는 지역 의상을 입고 축제 행사에서 그들의 자녀들(소년 또는 소녀)과 함께 연주를 한다는 점이다. 연주자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두타르를 알지 못했던 청중 앞에서 무형문화유산과 민족적·지역적 정체성의 한 부분을 표현하고 있다.
전승정보
두타르 공예 및 연주의 전통적 기술은 스승이 제자에게 비공식적 방식으로 전승한다. 제자는 다년간의 훈련을 통해서 음악뿐만 아니라 이 지역의 사회적·문화적 규범과 장점을 교육받는다. 예를 들어 두타르 연행 지역에 사는 “바크쉬스”와 “두타리스”는 자신들의 아버지, 삼촌 등 가족 가운데 연장자에게 연주와 서사를 읊는 방법을 배운다. 일부는 가족이 아닌 제자를 여럿 두기도 한다. 학생들은 지역의 여러 장인들 앞에서 지속적으로 훈련함으로써 완벽한 기술을 구사하기 위해 매진해야 한다. 더불어 비공식적으로 전수할 때에도 전통적인 공예 지식이 적용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소규모 개인 공방은 이러한 비공식적인 방식으로 기술을 전승하고 있다.
오늘날, 농촌 지역에서 일어나는 비공식적 전승 이외에도 도시 지역에서는 정부 또는 민간이 기관을 설립하고 여러 강좌를 개설하였다. 소년 소녀들이 함께 두타르 연주를 배우는 도시의 수업에서도 비공식적 방식이 주요한 전승 방법이라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훈련을 하는 동안 학생들은 하나의 선율을 배우는 데 실패하면 다음의 새로운 선율을 배울 수 없다. 도시에서 수업을 받는 학생은 대부분이 장인의 가족이거나 친척은 아니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이 학생들 역시 두타르 연주 및 제작 이면에 있는 문화적·역사적·사회적·윤리적 진가를 깨닫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본문
두타르를 제작 및 연주하는 모든 지역 사람들은 이 유산이 자신들의 문화사회적 정체성의 주요한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다. 두타르와 관련된 보유자 및 연행자는 대부분 농부들이다. 남성 공예가와 남녀 연주자를 포함하여 최근에는 젊은 남녀 연구자 다수가 두타르를 연주한다. 두타르의 전통적 제작법과 연주법은 스승이 제자에게 비공식적인 방식으로 전승한다. 또 두타르는 보유자들의 자연, 역사 및 환경이 지역 시와 속담, 노래, 자장가 등 구술문학과 기록문학에도 남아 있다. 여러 공동체, 그룹, 개인은 이 유산을 공유하므로 이들은 서로를 존중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두타르는 발현 민속 악기로 결혼식이나 파티, 축하행사 또는 의식행사 등의 중요한 사회문화 행사에서 연주된다. 두타르는 배 모양으로 생겼는데 울림통은 건조시킨 목재 또는 죽은 뽕나무로 만들고, 악기의 목 부분은 살구나무나 호두나무로 만든다. 2현으로 된 두타르의 현은 전통적으로 비단으로 제작했지만 오늘날은 금속 와이어로 대체되었다. 어떤 사람들은 1현은 남성을 상징하며 화음으로 만들며, 나머지 1현은 여성을 상징하며 주요 선율을 연주한다고 생각한다.
악기 공예가는 두타르를 제작할 때 죽은 나무나 마른 나무를 이용하므로 자연을 존중한다.
이 유산은 세계인권선언, 지속가능한 개발 등과 같은 국내법과 국제법에 상충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