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nawa
© Direction du patrimoine culturel, Maroc, 2015
상세정보
목록 : 대표목록
국가 : 모로코
등재연도 : 2019
요약
‘그나와(Gnawa)’란 모로코의 형제애적 관습, 세속과 신성이 어우러진 치유 의식과 관련된 일련의 음악 행사와 공연이다. 다른 무엇보다도 그나와는 수피(Sufi) 형제애 음악으로서 조상과 혼령을 불러들이는 종교적 가사를 담고 있다. 본래는 16세기에 노예제도 및 노예 거래에 관여했던 개인이나 무리가 처음으로 연행한 그나와 문화는 오늘날 다양한 모로코 문화와 정체성의 일부가 되었다. 그나와는 특히 도시에서,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아프리카의 관습과 아랍-무슬림 영향, 그리고 베르베르 원주민의 문화 경연 등이 결합된 것으로 밤을 지새우며 연주되는 리듬과 함께 가수(假睡) 의식 속에서 치유의 접신을 연행한다. 농촌 지역에서 그나와는 마라부(marabout, 특히 북아프리카 이슬람교의 도사, 은사(隱士)) 성인들에게 공동식사를 제공한다. 도시 지역의 일부 그나와는 현악기와 캐스터네츠를 이용하는 한편, 시골 지역에서는 커다란 북과 캐스터네츠를 사용한다. 도시에서는 자수로 장식한 화려한 의상을 입는 반면 시골에서는 흰색 의상에 액세서리를 착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수의 형제단 그룹과 명인 음악가들이 모로코의 마을 및 주요 도시에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협회가 조직된 여러 그나와 그룹은 연중 내내 지방, 지역을 돌며 연행하거나 국가나 국제적 차원에서 축제를 주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젊은이들은 그나와 가사와 악기뿐만 아니라 그나와 문화의 전반적인 관습 및 의식에 대해서 배울 수 있다.
영문명
Gnawa
지역정보
사실상 다수의 그나와 그룹이 모로코 전역에서 발견되지만 현재 주로 모로코 오아시스와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과 아틀라스산맥, 그 남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그나와 형제단의 분포 지역에는 아틀라스 산맥, 드라 계곡(Drâa Valley)을 따라 수스 평원, 그리고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의 오아시스 등이 포함된다. 그나와는 또한 다수의 제국도시들, 특히 에사우이라(Essaouira)와 마라케시(Marrakesh)의 역사적 구시가(메디나(medina))에서도 연행되는 경우도 많다. 이 두 도시는 상당수의 그나와 음악가 및 그나와 문화 추종자들의 고향이다. 아울러 카사블랑카(Casablanca)와 라바트(Rabat), 살레(Salé), 메크네스(Meknes), 탕헤르(Tangier) 등에서도 연행되고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그나와 그룹은 협회에 소속되어 있고, 협회들은 다시 수스 평원(아가디르(Agadir) 지역)의 사례처럼 대규모 연맹으로 통합되었다. 다수의 예술가들은 전문적인 직종에 종사하며 국내 및 국제 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예능보유자
그나와 문화와 관련된 음악, 의례적 관습, 행사의 보유자 및 연행자는 이 문화 현상을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사람들, 그리고 수세기에 걸쳐 교환과 결합, 혼합,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 문화현상에 동화된 사람들이다. 오늘날 그나와 보유자와 연행자는 도시 지역과 시골 지역의 형제애적 그룹, 그리고 개인 예술가-음악가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그나와 그룹 내에서 배경과 기술, 성별에 따라 그 역할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구분된다. 말렘(mâallem)은 현악기(guenbri)를 연주하는 명인 음악가이고, 이보다 경험이 없는 음악가들은 캐스터네츠를 연주하거나 단순히 춤을 추거나 반주 노래를 부른다. ‘다르다바’라는 접신과 가수 의식을 밤을 지새워 진행하는 동안에는 모카드마(mokadma)라고 불리는 한 여성이 저녁 내내 문제적 행동을 하는 참가자를 초대, 방과 향 준비, 청중 앞에서 향 태우기 등의 모든 단계를 지휘한다. 시골 지역의 그나와 가운데에는 명인이 리듬에 뒤이어 통성기도를 하고, 성자 랄라 미무나(Saint Lalla Mimouna)로 대표되는 마라부 성인들에게 봉헌하는 공동 식사의 조직을 감독한다. 명인은 또한 리듬이 있는 선율이 시작되기 직전에 그룹 구성원과 청중에게 나누어 줄 세몰리나(semolina, 알갱이가 단단한 밀) 반죽(bsis)의 준비 점검한다. 여성들은 의식용 식사를 준비하고, 특정 유형의 군무를 도우며 참여한다. 대규모 메디나에서는 명인 음악가들이 스스로 구엔브리(guenbri), 북, 캐스터네츠 등의 악기를 제작하기도 하지만, 악기 공예를 전문으로 하는 공예인들도 있다. 그나와가 착용하는 특정한 의상은 남성용과 여성용이 똑같다.
무형유산의 의미
그나와 의식의 추종자 및 연행자들은 그나와 현상을 통해 사회가 장려하는 매우 강한 정체감을 갖게 된다. 뿐만 아니라 그나와 현상은 그룹 내 구성원을 한데 모으고 도시와 마을 또는 지역의 그룹과 일반 주민들을 연결하는 사회적 연결고리이다. 이러한 사회적 연결고리는 그나와 연행자나 그 추종자를 막론하고 모든 참가자들이 상호 지지와 조화를 추구하는 치유의 밤 행사에서 더욱 강화된다. 이것은 그나와 그룹이 주관하는 도시 골목길 투어, 가수 상태, 공동의 기도 등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농촌 지역에서 마을 사람들이 기꺼이 마련하는 공동 식사를 통해서도 공동체 내의 강력한 사회적 결속이 이루어진다.
그나와는 또한 문화적 의미가 깊다. 그나와 노래와 리듬, 관습은 북아프리카의 노예제도 및 노예 거래의 역사와 관련된 문화이다. 오늘날 그나와 그룹에 속한 구성원들은 모로코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며 이는 풍성한 문화적 가치에 대한 동화, 배분 및 공유를 뚜렷이 입증한다. 모로코의 산악지대, 사하라이남 지역과 오아시스 지역 등의 여러 마을들은 특히 결혼식과 국경일 또는 그나와 의례적 관습만을 위한 저녁 의식 등을 통해 자신들의 문화적·사회적 행사에 생명을 불어넣는 그나와 그룹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다. 그나와는 에사우이라와 같은 대도시의 경우 지역 주민들과 전 세계에서 찾아온 방문객들이 높이 평가하는 하나의 문화적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전승정보
그나와 문화와 관련된 기술, 관습, 의식 등의 모든 요소는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전승된다. 가정 또는 그나와 가문 내의 친밀한 사회적 모임에서 어린이들이 배우고 있다. 어린 학습자들은 먼저 그나와 음악가 그룹에 참여하고 그런 다음 악기를 사용하지 않는 그룹에 참여한다. 이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가사와 동작을 배운다. 그런 다음 학습자들은 그나오우이(gnaoui) 음악가가 되기 위해서 필수적인 단계인 캐스터네츠를 소개받는다. 구엔브리(guenbri) 현악기는 학습의 마지막 단계에 배우며, 이 단계가 마무리되면 위대한 그나와 명인들은 철야 행사(‘다르다바’) 동안 또는 특별한 의식 행하면서 학습자에게 ‘그나오우이’라고 호칭한다. 오늘날 대규모 국가 및 국제 축제에 참여하는 그나와 악단은 예술가에 관심으르 갖고 자발적으로 그나와 명인이 되고자 하는 젊은이들에게 가사와 악기, 그리고 일반적으로 그나와 문화와 관련된 관습 및 의식을 가르친다. 또한, 그나와 의식 행사 준비에 참여하는 여성들은 밤새도록 가수 상태에 들어가 영혼을 부르는 의식에 반응하면서 종종 그나와 문화의 주술적 세계를 경험하기도 한다. 그나와에 사로잡힌 여성들은 이후에 형제애의 위대한 상징인 마라부(메디나의 시드나 빌알(Sidna Bilal), 모로코 시골 지역의 랄라 미모우나(Lalla Mimouna))를 자주 방문하기도 한다. 많은 여성들이 이런 방식으로 그나와의 세계에 헌신한다. 어린 소녀들은 때때로 치유의 밤 행사를 조직하는 일에 참여함으로써 어머니의 뒤를 이어 그나와 세계에 합류한다.
본문
‘그나와’란 세속과 신성이 어우러진 일련의 음악 행사와 공연이며, 형제애적 관습 및 치료적 의식이 포함되어 있다. 그나와는 다른 무엇보다도 수피(Sufi) 형제애 음악으로서 일반적으로 조상과 영혼을 불러들이는 종교적인 가사가 결합되어 있다. 본래 16세기에 노예제도 및 노예 거래에 관여했던 개인과 무리가 처음으로 연행했던 그나와 문화는 오늘날 다양한 모로코 문화와 정체성의 일부로 여겨지고 있다. 모든 그나와 사람들은 ‘빌라드 앗수단(Bilad al-Sudan, 서아프리카의 사하라사막 이남의 국가들)’ 출신이라는 주장도 있다. 오늘날의 그나와 문화 현상은 형제애적 전통, 치유 의식, 음악 공연 및 여흥 등이 혼합되어 표현된다. 특히 도시 지역의 그나와는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라일라(lila)’ 또는 ‘다르다바(derdeba)’라는 아프리카의 관습과 아랍-무슬림의 영향을 받았고, 베르베르 원주민의 문화 경연이 결합되었으며 밤을 지새워 리듬을 연주하고 가수 의식을 연행함으로써 치유적인 접신 의식을 행한다. 시골 지역의 그나와는 마라부 성인들에게 공동식사(maârouf)를 제공한다. 도시 지역의 일부 그나와는 현악기(guenbri)와 캐스터네츠를 이용하는 한편, 시골 지역에서는 특히 커다란 북(ganga)과 캐스터네츠를 이용한다. 착용하는 의상도 도시 지역의 그나와 사람들이 자수로 장식한 화려한 의상을 입는가 하면 시골 지역의 경우 터번, 예식용 단감, 바부슈(babouche) 슬리퍼 등의 액세서리와 함께 흰색 의상을 입는 것이 이셈간(isemgan)의 특징이다. 때때로 그나와에 따라서 밤바라(Bambara)와 같은 사하라 이남 문화권에서 사용되었던 고대 용어와 함께 베르베르어와 아랍어 두 언어가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