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세계유산
  • 무형문화유산
  • 세계기록유산
유네스코와 유산 Logo 유네스코와 유산 Logo
  • 유산소개
    • 유네스코 유산사업 소개
    • 세계유산이란
    • 무형문화유산이란
    • 세계기록유산이란
    • 유산로고활용
  • 유산등재
    • 등재정책
    • 등재기준
    • 등재절차
    • 등재효과
  • 유산목록
    • 유산현황
    • 세계유산
    • 무형문화유산
    • 세계기록유산
  • 자료실
    • 문서자료
    • 유산보호활동
  • 자주하는 질문
Home>유네스코 유산목록>세계기록유산>이그나시오 에야쿠리아의 문서 기록물군: 역사적 현실과 해방

이그나시오 에야쿠리아의 문서 기록물군: 역사적 현실과 해방

요약

‘이그나시오 에야쿠리아의 문서 기록물군(Ignacio Ellacuría’s Documentary Fond)’은 1979년부터 1989년 동안 엘살바도르중앙아메리카대학교(Central American University of El Salvador)의 총장을 역임한 예수회 사제, 이그나시오 에야쿠리아(Ignacio Ellacuría, 1930~1989)가 개인적으로 보관하던 문서를 예수회가 상속받아 소장해온 컬렉션이다.

이그나시오 에야쿠리아는 스페인에서 태어났지만 엘살바도르에 귀화했다. 그는 1949년 엘살바도르에 와서 1989년 죽음을 맞이 하기까지 계속해서 엘살바도르에 살았다. 그는 스페인에 머무를 수도, 세계 유수의 다른 대학에서 일할 수도 있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구조적인 불의와 군사 정부의 억압에 시달리며 빈곤과 소외 속에서 신음하던 당시의 엘살바도르를 떠나지 않기로 했다.

신학에 대한 이론적 기여, 라틴아메리카의 현실에 관한 해방 철학뿐만 아니라 1980년대 엘살바도르 내전에서 협상을 통한 해결책을 찾는 등 지식인 이그나시오 에야쿠리아는 엘살바도르에서는 물론이고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그는 1989년 11월 16일 군부에 의해 중앙아메리카대학에서 예수회 사제들과 함께 살해당했다.

기록물은 자필 문건들, 공책, 강의와 수업 개요서, 타이핑된 논문, 신문 스크랩, 강의를 녹음한 오디오 기록물, 기타 개인 서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는 그의 철학과 신학 분야의 성과물뿐 아니라 1970~1980년대 엘살바도르와 중앙아메리카의 현실에 대한 사회정치학적 분석과 비판적 해석이 담긴 귀중한 기록물들도 포함되어 있어 이그나시오 에야쿠리아의 거의 모든 지적 창작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 기록물군은 지금까지도 대학의 사명인 해방 운동에 대한 영감을 고취시키고 있으며 엘살바도르는 물론이고 미국, 멕시코, 콜롬비아, 에콰도르, 칠레, 스페인, 포르투갈, 독일 등 라틴아메리카와 유럽의 여러 국가의 사람들, 그리고 빈곤 집단, 사회운동가들, 학자와 지식인 등에게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할 사회적 관행에 관한 전범을 보여주고 있다. 인간이 추구해야 할 지식과 윤리, 도덕을 향한 길 안내자였던 이그나시오 에야쿠리아와 예수회 동지들이 보여준 인간 사회의 이상과 목표는 라틴아메리카 지역과 전 세계에 영감을 주었다.

이그나시오 에야쿠리아와 그의 동지들은 엘살바도르와 중앙아메리카의 분쟁 해결을 위해 헌신했다. 활동 범위로만 보아서는 간디나 마틴 루터 킹, 만델라와 같이 자국에서 평화와 사회 발전을 위해 분투했던 인물들과 동등한 반열에 놓을 수 있을 것이다.

20세기의 마지막 10년 동안 엘살바도르와 중앙아메리카, 라틴아메리카의 역사적 현실에 대한 비판적 해석을 위해서는 이그나시오 에야쿠리아가 남긴 기록물인 라틴아메리카의 해방 철학과 역사적 현실에 대한 이해가 담긴 일차 자료를 연구해야 한다. 이 문서들은 엘살바도르뿐만 아니고 세계의 다른 나라들에서도 사회과학과 인문학 분야의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이용되는 독창적이며 고유하고 대체 불가능한 기록물로 인정받고 있다.

국가

엘살바도르(El Salvador)

등재연도

2017년

외국어 표기

Ignacio Ellacuría’s Documentary Fond: Historical Reality and Liberation

소장 및 관리기관

엘살바도르 중앙아메리카대학교 도서관(Library at Central American University of El Salvador)

본문

세계적 중요성
이그나시오 에야쿠리아의 지적 생산물은 적어도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엘살바도르와 중앙아메리카의 역사적 현실에 대한 기록물, 나머지 하나는 이론과 철학, 신학과 관련된 저작물이다.

엘살바도르와 중앙아메리카 전역에서 이그나시오 에야쿠리아는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엘살바도르중앙아메리카대학교(UCA)라는 제도권 내의 기관에서 그는 국가 및 지역의 현실에 대한 냉철한 분석가로서 자리매김했다. 그는 또한 앞서 언급하였듯이 무력 충돌을 협상으로 해결하고자 모색하였다. 대학과 관련해서 그는 다양한 수준과 단위를 새롭게 도입함으로써 UCA의 학문적, 학술적 기량을 성장시킨 것은 물론이고 엘살바도르의 사회정치적 과정에 UCA가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사람으로서 대학의 발전에 이바지했을 뿐만 아니라 중요한 조언자의 역할을 한 인물이었다.

이런 관점에서 노암 촘스키(Noam Chomsky)는 에야쿠리아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설득력 있는 평가를 내렸다.

“그 어떤 권력이나 영향력 있는 자로부터도 지지 받지 못했던 다른 지역의 반체제 인사들과는 달리 그들이(동유럽의 반체제 인사들) 미국과 바티칸의 지지를 받았다는 것이 여러분이 목도한 현상에 대한 보다 타당성 있는 설명이다.”

하지만 실제로 이것은 현실을 과소평가한 것이다. 바르게 고쳐 말한다면, 그들은(동유럽의 반체제 인사들) 유럽 사회로부터 주목을 받으며 전례 없는 지지를 받았던 반면 훨씬 더 가혹한 폭압을 이겨내며 훨씬 더 큰 용기를 가지고 자유와 정의를 수호하고자 했던 유럽 서쪽 지역, 그러니까 아메리카에 속한 한 변방의 사람들은 그러한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었다. 이런 불공평한 차이는 너무도 특별해서 서구에서는 ‘반체제 인사’라는 표현을 쓸 때 동유럽 사람들만을 지칭하며, 서구의 선전 체계에 현혹되지 않는 소수를 제외한다면 누구도 1989년 11월 미국의 지원을 받아 훈련 받은 무장 엘리트 군대에 의해서 학살된 중앙아메리카의 예수회 지식인들에게 ‘반체제 인사들’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았다. 게다가 동유럽의 반체제 인사들의 한 마디, 한 마디가 널리 공표되고, 환영 받고, 중요하게 인정받았던 반면, 학살을 피해서 피신하고 미국 군대에 의해 고문당하고 살해된 에야쿠리아 신부와 그의 동지들, 중앙아시아의 반체제 인사들이 생산한 매우 중요하고 용감한 저술들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없었다.

에야쿠리아는 국제적인 차원에서 유력한 라틴아메리카의 사상가이자 철학자, 해방 신학자이다. 그가 사망한 때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그가 남긴 개인 기록을 일차 사료로 이용하여 그의 사상과 현시대와의 개연성에 대한 연구가 여러 차례 실시되었다.

그가 남긴 철학적, 신학적 저술은 라틴아메리카에서 철학과 해방 신학 분야 모두에서 탄탄한 이론적 토대를 확립했고 그 영향력은 아프리카와 아시아와 같은 다른 대륙에까지 미쳤다. 이렇게 그의 지적 생산물인 국내외 다수의 출판물이 전 지구적으로 미친 영향을 감안한다면 에야쿠리아의 기록물군은 매우 특별하다.

unescoheritage22019-05-29T09:21:03+09:00

카테고리별 유산목록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문화팀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길 (유네스코길) 26

Phone: 02-6958-4135

Email: culture@unesco.or.kr

유네스코본부 유산사이트 바로가기

세계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
세계기록유산

Copyright 2014 - | All Rights Reserved |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Toggle Sliding Bar Area

메뉴

  • 유산소개
    • 유네스코 유산사업 소개
    • 세계유산이란
    • 무형문화유산이란
    • 세계기록유산이란
    • 유산로고활용
  • 유산등재
    • 등재정책
    • 등재기준
    • 등재절차
    • 등재효과
  • 유산목록
    • 유산현황
    • 세계유산
    • 무형문화유산
    • 세계기록유산
  • 자료실
    • 문서자료
    • 유산보호활동
  • 자주하는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