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Assumption Cathedral. Eastern elevation
설명 : © Regional Foundation of Revival of Historical and Cultural Monuments of Republic of Tatarstan
상세정보
국가 : 러시아(Russian Federation)
좌표 : N55 46 13 E48 39 10
등재연도 : 2017년
영문명
Assumption Cathedral and Monastery of the town-island of Sviyazhsk
등재기준
기준 (ii)
성모승천 대성당과 수도원은 러시아가 동쪽으로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유라시아에 나타난 중요한 역사적·지정학적 상호교류의 진정한 증거이다. 대성당 건물과 ‘마리아주의 사이클(Mariological cycle, 마리아의 생애를 표현한 도상학적 사이클)’을 표현한 벽화는 정교회와 무슬림 문화 사이의 상호작용, 그리고 천지창조나 원시복음주의 사이클(Proto-evangelical cycles) 및 복음주의 사이클(Evangelical cycles)과 같은 서구 기독교의 종교적 도상 주제가 상호 교류한 모습이 나타나 있다. 성모승천 대성당의 이코노스타시스(iconostasis)에 장식된 벽화와 도상의 독특한 양식은 볼가 지방의 전문 공예인, 그리고 로스토프(Rostov)나 수즈달(Suzdal) 지방에서 활동했던 예술가들, 뿐만 아니라 노브고로드나 프스코프, 모스크바와 같은 러시아의 주요 예술 중심지에서 유래된 다양한 예술적 힘이 융합된 결과이다. 이코노스타시스 성화 일체는 대성당의 총체적 예술적 체계의 일부이다.
기준 (iv)
성모승천 대성당과 수도원의 위치, 배치 및 건축 구성 등은 모스크바대공국 이반 4세가 유럽을 넘어 킵차크 칸국(Golden Horde, 바투의 서양 원정으로 러시아는 몽골의 지배를 받음) 시대 이후 이슬람 국가에까지 세력을 확장하고자 했던 정치적·선교적 프로그램을 증명한다. 성모승천 대성당에 장식된 프레스코 화는 동방정교회의 벽화 중 귀중한 사례이다. 대성당의 도상학 프로그램은 천지창조의 주제, 그리고 원시복음사와 복음사의 전통적 사이클에 관한 도상학적 해설을 담고 있다. 아울러 새로운 신학적 개념과 차르 이반 4세의 정치적 프로그램을 표현하고 있으며 러시아 종교예술계에 나타난 완전히 새로운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
탁월한 보편적 가치
성모승천 대성당(Assumption Cathedral)은 도시-섬인 스비야시스크(Свия́жск, Sviyazhsk)에 있는 성모승천 수도원(Assumption Monastery) 안에 있다. 볼가(Volga) 강과 스비야가(Sviyaga) 강, 슈카(Shchuka) 강 등 3개의 강이 합류하는 지점이자 실크로드와 볼가 루트가 교차하는 지점에 있는 스비야시스크는 1551년 이반 뇌제(Ivan the Terrible)가 카잔 칸국 정복의 전초기지로 건립한 곳이다. 이반 뇌제는 새로 정복한 지역에서 선교 및 행정의 거점으로써 성모승천 대성당을 이용했다. 비교적 짧은 시간에 완성한 방대한 규모의 벽화로 장식된 성모승천 대성당은 러시아 국가에 새롭게 편입된 이슬람 카잔 칸국에서 펼친 러시아의 야심찬 문화적·정치적 계획과 러시아 및 유럽 정교회 예술의 새로운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성모승천 수도원의 위치·배경·배치, 그리고 부속 건물을 포함한 건축물의 구성은 16세기 수도원의 정치적·군사적·선교적 역할을 증언한다. 대성당은 성모승천 수도원에 있는 전체 건물들 가운데 가장 탁월한 곳이다. 대성당은 모스크바와 노브고로드(Novgorod), 블라디미르(Vladimir), 프스코프(Pskov) 등의 종교 건축물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루시(Rus, 러시아) 전통이 반영되어 있다. 동시에 이곳 장인들은 건축물에 지역의 자재를 이용해 비잔틴의 고전적 유산을 형상화했다. 이 건축물들은 18세기에 바로크 양식으로 장식되고 개축되었는데 이는 표트르 대제가 서유럽에서 러시아 제국으로 수입해온 새로운 예술 및 건축 경향을 표현한 훌륭한 사례이다.
구약과 신약의 이야기를 묘사한 16세기 벽화들로 장식된 대성당의 건축 이미지는 이반 4세가 타타르인들이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쉽도록 구약과 성모 마리아 이야기라는 종교적 언어를 표현한 것인데 이는 의도적으로 러시아의 왕권과 정교회 권력을 타타르인들에게 전하고자 한 정치적·종교적 프로그램이다. 대성당과 함께 종탑이 있는 성 니콜라우스 교회(St. Nicholas Refectory Church), 대수도원장 건물, 수도원 학교 건물, 수도사 건물, 대문 위에 승천 교회가 그려진 성벽 등은 과거 정교회 수도원에서의 종교 생활과 일상생활을 짐작하게 한다. 또 이러한 모든 구성 요소들이 성모승천 대성당을 더욱 가치 있게 만들어 주기도 한다. 스비야시스크 도시-섬의 성모승천 단지라는 거대한 건축 단지와 단지 내 구성 요소들은 멀리서부터 마을을 향해 다가갈 때에도 잘 보여서 성모승천 대성당이 지리적·종교적 거점이었음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수도원 단지와 인근 지역 부지에 보존된 문화층과 고고학 지층에는 신앙적·사회적·예술적·학문적 업적이 담긴 정보의 원천인 16~19세기의 예술품이 남아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이 예술품들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스비야시스크 도시-섬은 역사적 전초기지 그 자체였다는 것을 강력하게 표현하고 있다.
완전성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표현된 제반 요소는 유산 경계 내에 포함되어 있다. 성모승천 수도원 단지와 대성당, 기타 석조 건물들은 역사적 경계 내에 있으며, 전체 단지 그 자체가 본연의 정치적·종교적 기능을 그대로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보전과 복원, 재건 등의 개입이 있었음에도 전체적으로 용인할만한 상태이다. 그러나 대성당의 구조적 불안전성, 안전하지 못한 실내 환경과 같은 변수, 토양의 침식, 그밖에 현재 연구와 조치가 진행 중인 다른 불안 요소와 관련하여 해결되지 않은 몇 가지 문제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스비야시스크 섬의 완충지역과 관광, 관광산업 때문에 발생한 개발 압력 등은 통제되고 있지만 관계 당국의 신중한 점검이 절실하다.
진정성
성모승천 수도원 단지와 부속 구조물의 위치, 배경, 배치, 구성 등은 최초 건립 당시 군사적·정치적 필요에 따라 건축된 전략적 주거지였던 이곳의 선교적 역할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성모승천 대성당은 구성 요소와 내용의 측면에서 적어도 2번의 중요한 단계를 거쳤다. 첫 번째는 16세기 건립 당시의 건축 기술과 장식이며 두 번째는 18세기 바로크 양식으로 개축된 단계이다. 성모승천 대성당 실내에 장식된 벽화의 전체 사이클(cycle)은 이 유산이 지닌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단번에 증명하는 정보의 핵심 원천이다. 수도원 식당 건물과 실내 벽화, 그리고 성 니콜라우스 교회(St. Nicholas Refectory Church) 건물과 실내 벽화는 대성당 건물의 도상 프로그램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역사적 상황이 담긴 건축 형식 및 예술적 형식이 표현된 대성당을 제외하고, 성모승천 수도원 단지 내의 기타 건물들은 저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복원과 재건이라는 개입의 과정을 거쳤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이 이 유산의 가치를 훼손할 정도는 아니다.
보존 및 관리체계
일련의 연방 법률과 주 법률에 의거하여 유산과 완충지역은 적절하게 보호되고 있다. 완충지역 전체는 법적 보호의 대상이다. 법률에 따라 하위 지역이 설정되고 관련 규정이 수립되었있다. 이 지역의 자연적 가치 또한 주 법률과 연방 법률에 따라 보호되며, 유산을 포함한 광범한 지역이 UNESCO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대 볼시스코-캄스키 생물권보전지역(Great Volzhsko-Kamsky Biosphere Reserve))되었다. 더 효과적인 보호를 위해 각종 법규와 제한 사항이 해당 지역과 시 당국의 토지 및 도시 계획과 일원화되었다. 해당 주 당국과 지방 당국은 토지 이용에 관한 규정과 제한 사항을 실천하며, 도시 계획에 관한 부처 간 위원회를 조직했다. 따라서 완충구역 내에서 제안된 모든 프로젝트가 이 유산의 보호라는 요건과 목적을 충족하는지 확인되고 있다.
이미 설립되어 있는 조정위원회는 의사결정 자문과 관리계획 이행을 감독한다. 유산의 효과적 관리는 여러 다양한 법률 장치와 기획 조치, 그리고 여러 유관 기관 사이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조정 및 확립된다. 그리고 개발 계획이나 프로그램을 계획할 경우 관광 압력에 대해서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유산면적
3.25ha
완충지역
11,563.9ha